우리가 차트를 분석할 때 일봉 차트, 분봉 차트에서 거래량이 발생한 구간은 굉장히 의미가 큰 분석 포인트입니다. 거래량이 발생한 것을 보고 수급이 유입되었다고 판단하여 매수를 해볼 수도 있고 고점에서 거래량이 발생한 것을 보고 고점을 형성하고 하락하는 흐름이 나타날 수 있다는 판단으로 매도를 할 수도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필자가 일봉 차트를 분석하여 종가배팅을 했던 관점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.
이번에 매매한 종목은 신화인터텍이며 필자는 과거 여러 번 신화인터텍에 대해서 언급드리며 단타 매매와 스윙 매매를 진행했습니다. 그와 관련된 사례들은 이전 포스팅을 공유해드릴 테니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.
또 이번 포스팅을 읽으실 때 거래량이라는 보조지표를 분석하는 관점은 투자자마다 달라질 수 있으며 투자자마다 분석하는 관점이 다르기 때문에 한 가지 관점을 보고 정답이라는 결론을 내리시기보다 최대한 다양한 관점을 공부하신 후 독자분들이 매매를 하실 때 가장 와닿는 관점을 찾아서 집중적으로 공부해보시기 바랍니다.
반응형
필자도 거래량이 발생하는 흐름 하나만으로 여러 가지 해석을 하면서 매매에 활용하기 때문에 한 가지 글에서 소개해드리는 관점만을 공부하시기보다는 다른 관점도 같이 살펴보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.
일봉 차트에서 수급 확인 - 거래량 분석 - 신화인터텍
신화인터텍 과거 매매 사례
필자는 신화인터텍의 주가가 크게 상승하면서 기준봉이 처음 세워질 때부터 모니터링을 하면서 여러 번의 매매를 진행했습니다. 재료가 발생한 뒤 주가가 상승하고 그 재료의 모멘텀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판단을 할 수 있을 때에는 해당 종목을 한 번만 매매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번 매매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종목을 매매할 수 있는 기회가 있는지 체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
신화인터텍을 매매했던 두 가지 사례는 위 포스팅을 통해서 공유해드렸으니 이번 글에서 소개해드리는 사례를 읽어보시기 전, 후에 가볍게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.
신화인터텍 분봉 차트 1)
위 차트를 보시면 필자는 신화인터텍을 고점 횡보 패턴이 나타날 때 한 번, 또 신고가를 돌파하는 관점에서 한 번 매매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그럼 위 사례는 포스팅을 통해 매매 사례를 공유해드렸으니 금일 매매한 사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.
반응형
신화인터텍 매매 사례
신화인터텍 분봉 차트 2)
필자는 신화인터텍을 일봉 차트에서 거래량이 발생한 것을 보고 종가 부근에 여러 번 매수를 하여 다음 날 시초에 전량 매도를 진행했습니다. 필자가 매수한 포인트는 차트에 동그라미, 또 거래량에 네모 박스 구간으로 표기해두었습니다.
기준봉이 출현한 뒤 하락하던 흐름에서 거래량이 동반된 양봉이 출현하면서 바닥이 잡혔으며 바닥을 잡은 이후 다음 날 급등하는 흐름이 두 번 연속 나타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또 필자가 단타 매매를 했던 구간인 기준봉의 시가 부근까지 하락했다가 다음 날 기준봉의 시가를 다시 회복하고 상승하는 흐름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즉, 필자는 기준봉의 시가 회복이라는 포인트와 일봉 차트에서 거래량이 발생하면서 바닥을 잡아준 구간을 보고 매수한 것입니다. 또 이런 흐름은 첫 번째 동그라미 구간에서 동일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상승 흐름이 조금 약하게 나타나더라도 첫 번째와 비슷한 흐름이 나타날 수 있다는 가정을 열어두고 매매를 한 것입니다.
신화인터텍 분봉 차트
필자가 매매한 구간을 보시면 거래량이 소폭 발생한 구간, 또 종가 부근에 여러 번에 나누어서 매매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주가가 언제 어떻게 상승하고 하락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이번에는 조금 소액으로 여러 번에 걸쳐서 매매를 진행했습니다. 크게 의미 있는 상승 흐름이 나타나지는 않았기 때문에 다음 날, 혹은 2 거래일 안쪽으로 상승하는 흐름이 나타나면 매도할 생각으로 오버나잇 후 마무리를 했습니다.
반응형
그다음 2022년 8월 4일 신화인터텍은 시초에 큰 상승 흐름이 나타났으며 필자는 하락하는 구간의 시작점에서 보유 물량을 전부 매도했습니다. 조금 더 고점에서 매도를 할 수도 있었지만 추가적인 상승 흐름을 기대한 개인적인 욕심 때문에 조금 더 낮은 구간에서 매도한 사례입니다.
이번 글에서 설명드리고자 하는 것은 재료가 발생한 후 그 재료의 모멘텀이 이어지는 것을 차트로 확인할 수 있다면 한 종목을 여러 번 매매할 수 있다는 것과 일봉 차트에서 거래량이 유입된 흐름을 보고 종가배팅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. 거래량이 유입되면서 바닥을 잡아주는 흐름과 기준봉의 시가를 이탈했다가 회복하는 구간 등을 잘 살펴보시고 매매 관점을 공부하실 때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.
댓글